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곰플레이어에서 mp4 파일을 재생하려면 코덱을 설치하라고?

컴퓨터&모바일

by nansang-lab 2025. 2. 26. 21:09

본문

 

휴대폰으로 촬영한 영상을 컴퓨터에서 재생하려고 했는데

이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해당 코덱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코덱찾기]를 클릭하니 또 뫄뫄 페이지로 넘어가래...

도대체 WHY...

 

 

Q. 최근에 곰플레이어에서 mp4 영상을 재생하려고 하면 첨부한 이미지(▲)와 같은 안내창이 떠,
'코덱찾기' 버튼을 클릭하니까 깃허브에서 저 코덱을 다운로드하라고 하더라고?

 

곰플레이어에서 MP4 영상 재생 시 **"코덱이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뜨고,

"코덱찾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LAV Filters 같은 코덱을 다운로드하라고 안내한 것 같네요.

1. 왜 이런 메시지가 뜨는 걸까?

MP4 자체는 널리 사용되는 파일 형식이지만, 내부적으로 다양한

**비디오 코덱(H.264, H.265/HEVC, AV1 등)**과 **오디오 코덱(AAC, MP3, AC3 등)**을 사용할 수 있어요.

 

👉 현재 곰플레이어에 설치된 코덱이 해당 영상의 코덱을 지원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요.

특히 최근에는 H.265(HEVC) 또는 AV1 같은 고효율 코덱이 많이 사용되는데,

곰플레이어 기본 코덱에는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직접 설치해야 할 때가 있어요.


2. 해결 방법

방법 1: LAV Filters 설치

곰플레이어에서 안내한 코덱이 LAV Filters라면, 깃허브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면 해결될 가능성이 높아요.

 

1) LAV Filters 다운로드

공식 사이트: LAV Filters GitHub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세요. (일반적으로 "LAVFilters-x.xx-Installer.exe" 파일)

 

2) 설치 과정

설치 중 LAV Splitter, LAV Video Decoder, LAV Audio Decoder를 모두 체크한 후 설치하세요.

곰플레이어를 다시 실행해서 영상을 재생해보세요.


방법 2: K-Lite Codec Pack 설치

LAV Filters만 설치해도 해결될 가능성이 크지만, 좀 더 다양한 코덱을 지원하고 싶다면

K-Lite Codec Pack을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K-Lite Codec Pack 다운로드

 

Basic / Standard / Full / Mega 중에서 "Standard" 이상을 추천

Standard: LAV Filters 포함 (추천)

Full / Mega: 더 많은 기능 제공

 

설치 후 곰플레이어에서 외부 코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해결 가능.


방법 3: 다른 플레이어 사용

곰플레이어 대신 코덱 내장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1) VLC Media Player (다운로드): LAV Filters 없이 자체적으로 대부분의 코덱을 지원.

2) MPC-HC (다운로드): 가벼우면서 강력한 재생 성능 제공.

3) PotPlayer: 곰플레이어와 비슷한 UI + 강력한 코덱 지원.


3. 결론

1) MP4 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이유는 해당 파일이 사용하는 비디오/오디오 코덱이 곰플레이어에 없기 때문.

2) LAV Filters를 설치하면 해결될 가능성이 높음.

3) 더 다양한 포맷 지원이 필요하다면 K-Lite Codec Pack 설치도 고려.

4) VLC나 MPC-HC 같은 자체 코덱 내장 플레이어를 사용하면 추가 설치 없이 해결 가능.

➡️ 먼저 LAV Filters를 설치해보고, 그래도 안 되면 K-Lite Codec Pack을 깔아보는 걸 추천해요!

 
 
  
Q. LAV Filters 코덱이 뭐야?
 

LAV Filters 코덱이란?

 

LAV Filters는 **오픈소스 멀티미디어 분할기(Splitter), 디코더(Decoder), 렌더러(Renderer)**로 구성된 필터 세트로,

DirectShow 기반의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다양한 형식의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을 원활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코덱입니다.

 

1. LAV Filters의 주요 구성 요소

LAV Filters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LAV Splitter

AVI, MP4, MKV, FLV, MOV 등 다양한 컨테이너 형식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분석하여,

개별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추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영상 파일을 재생할 때 내부에서 오디오와 비디오 스트림을 각각 분리하여 디코더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2) LAV Video Decoder

다양한 비디오 코덱(H.264, H.265/HEVC, VP9, AV1 등)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GPU 가속 기능을 지원하여, DXVA2, D3D11, CUVID, Vulkan 등의 하드웨어 가속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LAV Audio Decoder

AAC, MP3, AC3, DTS, TrueHD, FLAC 등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디코딩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채널 오디오 출력(예: 5.1채널, 7.1채널) 및 패스스루(bitstreaming)를 지원하여,

AV 리시버(홈시어터 시스템)에서 직접 디코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LAV Filters의 장점

1) 광범위한 파일 지원: DirectShow 기반의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거의 모든 멀티미디어 형식을 지원함.

2) 하드웨어 가속 지원: DXVA2, D3D11, NVIDIA CUVID 등을 이용해 CPU 부담을 줄이고 부드러운 재생 가능.

3) 오디오 패스스루 지원: DTS-HD MA, Dolby TrueHD 같은 고품질 오디오 코덱을 AV 리시버로 직접 출력 가능.

4) 무료 & 오픈소스: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ffdshow 등의 코덱보다 가볍고 최적화됨.

 

3. LAV Filters를 사용하는 방법

① 단독 설치

공식 깃허브 또는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설치 가능.

설치 후, MPC-HC, PotPlayer, VLC 등의 플레이어와 연동하여 사용 가능.

 

② K-Lite Codec Pack 같은 코덱 팩과 함께 사용

K-Lite Codec Pack에는 LAV Filters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음.

PotPlayer 같은 일부 플레이어도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음.

 

4. LAV Filters를 꼭 설치해야 할까?

✅ 설치가 필요할 때

특정 영상(특히 MKV, MP4, AV1, H.265 등)이 재생되지 않을 때.

DXVA2, D3D11 등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활용하여 CPU 부하를 줄이고 싶을 때.

고음질 오디오 패스스루 기능이 필요한 경우(홈시어터 시스템).

 

🚫 설치하지 않아도 될 때

VLC Media Player, MPV 같은 자체 코덱 내장 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다면 추가 설치가 필요 없음.

Windows 10/11에서는 기본적으로 HEVC/H.264 디코딩 기능을 제공하므로, 일반적인 동영상은 별도 코덱 없이도 재생 가능.


결론

LAV Filters는 DirectShow 기반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다양한 영상·음성 코덱을 지원하는 강력한 코덱 필터입니다. 가벼우면서도 최적화가 잘 되어 있어서 많은 사용자들이 K-Lite Codec Pack과 함께 사용하거나, MPC-HC, PotPlayer 등과 함께 활용합니다.

만약 특정 영상 파일이 재생되지 않는다면, LAV Filters를 설치해보는 것도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

 
  
 
Q. 곰플레이어는 왜 저런 코덱이 없을까? 뭐 쓸때마다 업데이트하라고 사람 귀찮게 하면서
 

곰플레이어가 기본적으로 모든 코덱을 내장하지 않고,

특정 코덱이 필요할 때마다 "코덱 찾기" 버튼을 통해 따로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하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어요.


1. 코덱 라이선스 문제

코덱은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특정 기업이나 단체에서 개발하고, 특허 라이선스를 가진 기술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H.264, H.265(HEVC), AAC 같은 코덱은 특허 라이선스 비용이 필요해요.

 

VLC, MPC-HC 같은 오픈소스 플레이어들은 이를 자체적으로 해결하지만,

곰플레이어처럼 무료지만 광고 기반으로 운영되는 상용 소프트웨어는 모든 코덱을 기본으로 내장하기 어렵죠.

 

곰플레이어가 H.265(HEVC)나 AV1 같은 최신 코덱을 기본 제공하면 라이선스 비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려고 필요할 때마다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방식이에요.


2. 사용자 데이터 수집 & 트래픽 유도

곰플레이어는 기본적으로 무료 소프트웨어지만 광고 기반으로 수익을 내는 서비스예요.
그렇다 보니 코덱이 부족한 상태로 제공해서 사용자가 추가 다운로드를 하도록 유도하고, 그 과정에서 트래픽을 유발하는 거죠.

 

"코덱 찾기" 버튼을 누르면 곰플레이어 사이트나 제휴 사이트로 연결됨
→ 여기서 추가 광고 노출이 가능

 

사용자가 코덱을 설치할 때 제휴 소프트웨어(예: 웹 브라우저, 보안 프로그램 등)를 끼워 넣을 수도 있음

 

사용자가 곰플레이어를 계속 업데이트하도록 유도하는 방식→ 업데이트를 자주 하면 곰플레이어 자체 광고(팝업 광고 등)를 더 자주 보게 됨


3. 불필요한 코덱 설치 방지? (표면적인 이유)

곰플레이어 측에서는 **"모든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코덱을 설치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제공한다"**는 명목을 내세우기도 해요.

 

모든 사용자에게 다양한 코덱을 기본 포함하면 설치 파일 크기가 커지고, 업데이트 부담이 증가할 수 있음.

 

하지만 이건 사실 핑계에 가깝고, VLC나 PotPlayer처럼 기본 내장해도 문제없이 운영되는 플레이어들이 많음.


결론

1) 특허 라이선스 비용 회피: H.264, HEVC(코덱 특허)를 기본 제공하면 비용이 드니까 일부러 빠뜨리고 사용자에게 따로 설치하도록 유도.

2) 광고 및 트래픽 유도: "코덱 찾기"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업데이트를 하면서 광고를 더 많이 보게 만들려는 전략.

3) 업데이트 유지 명목: "필요한 코덱만 설치하도록 한다"는 이유를 대지만, 사실상 사용자 경험을 불편하게 만드는 요소.

 

귀찮게 하고 싶지 않다면 VLC나 MPC-HC 같은 자체 코덱 내장 플레이어를 쓰는 게 답이에요.
➡ 곰플레이어를 꼭 써야 한다면 LAV Filters 설치 후 더 이상 코덱을 따로 설치할 필요 없도록 설정하는 것도 방법!

 

 

Q. 아하 최신 휴대폰으로 촬영한 영상의 경우 파일 형식이 mp4임에도 곰플레이어에서 재생이 안 됐던 게
저런 코덱을 사용하고 있어서 그럴 수 있겠구나
 

정확해요! 최신 스마트폰(특히 아이폰이나 고급형 안드로이드폰)으로 촬영한 영상이

MP4 파일인데도 곰플레이어에서 재생되지 않는 이유영상 내부에서 사용된 코덱이 곰플레이어 기본 코덱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 최신 스마트폰 영상이 곰플레이어에서 안 되는 이유

 

1. HEVC (H.265) 사용 증가

최신 스마트폰(아이폰, 삼성 갤럭시, 구글 픽셀 등)은 고화질을 유지하면서도 저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H.265(HEVC) 코덱을 기본 설정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H.265는 라이선스 문제로 곰플레이어에 기본 포함되지 않음.

따라서 LAV Filters 같은 코덱을 따로 설치하지 않으면 재생이 안 됨.

 

2. HDR(High Dynamic Range) 및 10bit 색상 문제

최신 스마트폰은 HDR10, Dolby Vision, 10bit 색상 지원으로 촬영하는 경우가 많음.

곰플레이어는 기본적으로 SDR(8bit)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HDR10/10bit 영상이 재생되지 않거나 색감이 이상하게 나올 수 있음.

 

3. Variable Frame Rate (VFR) 지원 부족

아이폰이나 일부 안드로이드폰은 변동 프레임 레이트(VFR, Variable Frame Rate)를 사용해 배터리를 절약하면서

최적의 품질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촬영함.

 

하지만 곰플레이어는 고정 프레임 레이트(CFR)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VFR 영상을 제대로 재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오디오 코덱 차이

최신 스마트폰은 AAC, ALAC(애플 무손실 오디오 코덱) 등을 사용하지만, 곰플레이어 기본 코덱은 오래된 AAC만 지원할 수도 있음.

특정 파일에서는 소리는 나오는데 영상이 안 나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음.


🔧 해결 방법

LAV Filters 설치 (H.265, HDR, 오디오 코덱 지원 가능)
K-Lite Codec Pack 설치 (더 다양한 형식 지원 가능)
VLC / MPC-HC 사용 (자체적으로 최신 코덱 내장)
스마트폰에서 촬영 시 H.264로 설정 변경 가능하면 변경 (H.264는 대부분 지원됨)


🎯 결론

📌 최신 스마트폰 영상이 MP4 파일인데도 곰플레이어에서 재생되지 않는 이유는, 내부 코덱(H.265, HDR, VFR 등)이 곰플레이어 기본 설정과 맞지 않아서

📌 LAV Filters를 설치하거나, VLC / MPC-HC 같은 자체 코덱 내장 플레이어를 쓰는 것이 가장 간편한 해결 방법!

 

 

 

Q. 그럼 확장자와 코덱의 차이는 뭐야?
 

📌 확장자와 코덱의 차이

✅ 확장자 (파일 형식)

파일 확장자는 파일의 유형을 나타내는 표식이에요.

예시: .mp4, .avi, .mkv, .mov, .flv, .wmv

역할: 해당 파일이 어떤 **컨테이너(파일 포맷)**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려줌.

 

📌 💡 중요한 점:
확장자가 같아도 내부에서 사용된 코덱이 다를 수 있어요.
즉, 같은 .mp4 파일이어도 어떤 파일은 재생이 되고, 어떤 파일은 안 될 수 있음.


✅ 코덱 (Codec, 인코딩 & 디코딩 방식)

코덱은 영상을 압축하고 해제하는 기술이에요.

 

영상 코덱 예시: H.264(AVC), H.265(HEVC), VP9, AV1, MPEG-4

오디오 코덱 예시: AAC, MP3, FLAC, Opus, AC3

 

📌 💡 코덱의 역할:

촬영된 원본 영상은 용량이 엄청 크기 때문에 **압축(인코딩)**해서 저장.

영상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려면 압축을 풀어야(디코딩) 하는데, 이때 해당 코덱을 지원하지 않으면 재생 불가.


📌 쉽게 이해하는 예시

확장자는 컨테이너(파일 형식), 코덱은 내부 내용물!

 

📦 확장자(MP4, MKV, AVI 등) = 택배 상자
📦 코덱(H.264, H.265, AAC 등) = 택배 안의 물건

 

🎯 예를 들어 .mp4 파일이 있다고 할 때, 그 안에는

📺 H.264 비디오 + AAC 오디오 → 대부분의 플레이어에서 문제없이 재생

📺 H.265(HEVC) 비디오 + DTS 오디오 → 코덱이 없으면 재생 불가

즉, 같은 MP4 확장자라도, 어떤 코덱을 사용했느냐에 따라 재생 여부가 달라지는 것! 🎯


📌 정리

확장자(MP4, MKV, AVI)
→ 📦 파일 형식(컨테이너)만 나타냄
→ 파일 내부에 어떤 비디오/오디오 코덱이 들어있는지는 알 수 없음

 

코덱(H.264, H.265, VP9, AAC, MP3)
→ 🎥 영상과 오디오를 압축하는 방식
→ 플레이어에서 해당 코덱을 지원하지 않으면 재생 불가

 

📌 결론: 확장자가 같다고 해서 반드시 모든 기기에서 재생되는 건 아니다!
코덱이 지원되지 않으면 코덱을 설치하거나, VLC 같은 자체 코덱 내장 플레이어를 사용해야 함.

 

 

Q. VLC이 뭔데 자꾸 네가 추천하는 거임?
 

📌 VLC Media Player란?

VLC 미디어 플레이어무료 & 오픈소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거의 모든 코덱을 내장하고 있어서 별도 코덱 설치 없이 다양한 형식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강력한 프로그램이에요.


✅ 왜 자꾸 추천하는가? (VLC의 장점)

1. 별도 코덱 설치 필요 없음 (내장 코덱)

곰플레이어는 코덱이 없으면 **"코덱을 찾아서 설치하라"**고 귀찮게 하는데,

VLC는 H.264, H.265(HEVC), VP9, AV1, AAC, AC3 등 최신 코덱이 다 내장되어 있어서 바로 재생됨.

 

2. 완전 무료 & 광고 없음

곰플레이어처럼 업데이트할 때 광고 보라고 강요하지 않음.

코덱 설치하라고 유도하며 이상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도 않음.

 

3. 거의 모든 파일 형식 지원

.mp4, .mkv, .avi, .flv, .mov, .wmv 같은 확장자는 물론이고,

Blu-ray, DVD, 스트리밍 재생까지 가능!

심지어 압축된 .zip 파일 안에 있는 동영상도 풀지 않고 바로 재생할 수 있음.

 

4. 가벼움 + 빠름

VLC는 Windows, Mac, Linux, 안드로이드, iOS에서도 사용 가능

최적화가 잘 되어 있어서 낡은 PC에서도 부드럽게 동작

곰플레이어처럼 무겁고 쓸데없이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지 않음.

 

5. 스트리밍 & 변환 기능

유튜브 영상도 VLC에서 직접 스트리밍 가능 (URL 붙여넣으면 됨)

동영상 포맷을 변환할 수도 있어서, 예를 들면 MKV → MP4 변환 가능.


❌ VLC의 단점은 없을까?

✅ 인터페이스(UI)가 좀 투박하고 예쁘진 않음. (곰플레이어처럼 직관적인 버튼 X)
✅ 자막 설정이 곰플레이어보다는 약간 불편함. (하지만 설정하면 다 가능)
✅ 기본 화면 크기 조절이 자동으로 안 될 때가 있음 (설정에서 변경 가능)

 

💡 하지만 이런 단점들을 감수해도 **"별도 코덱 설치 없이, 광고 없이, 거의 모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는 점이 워낙 강력한 장점이라 추천할 수밖에 없음.


📌 VLC 다운로드 링크

👉 VLC 공식 사이트
(무료 & 광고 없음, 이상한 프로그램 끼워넣지 않음)


🎯 결론: 곰플레이어 vs VLC

항목VLC Media Player곰플레이어
코덱 지원 ✅ 내장 (따로 설치 필요 없음) ❌ 필요할 때마다 설치해야 함
광고 여부 ✅ 광고 없음 ❌ 광고 있음 (업데이트할 때도 뜸)
파일 지원 ✅ 거의 모든 파일 재생 가능 🔸 일반적인 파일은 지원, 일부 최신 코덱 재생 불가
가벼움 ✅ 최적화 잘 되어 있음 ❌ 무겁고 메모리 차지 많음
자막 지원 🔸 기본 설정이 필요함 ✅ 자막 기능 편리
스트리밍 지원 ✅ 유튜브 URL 직접 재생 가능 ❌ 기본 기능 없음
설치 후 바로 사용 가능? ✅ 가능 ❌ 코덱 추가 설치해야 할 수도 있음

➡ 코덱 문제 없이 영상을 보려면 VLC가 훨씬 편함.
➡ 곰플레이어는 광고도 많고, 코덱 설치 요구가 많아서 번거로움.

🎯 VLC는 "깔아두면 코덱 걱정 없이 모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만능 플레이어"라서 추천하는 것!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