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크업 Markup(마진율)과 마진 Margin(이익률)은 무엇일까? (개념, 차이점)

경제

by nansang-lab 2025. 3. 10. 20:52

본문

 

 

 

Net과 Gross의 차이는 무엇일까?

그냥 일하다가 문득 어원이 궁금해진 단어Net과 Gross의 차이는 무엇일까? Q. Net과 Gross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줘 NET과 GROSS의 차이점1. 기본 개념GROSS(총, 총계): 공제 또는 차감 없이 전체 금액이

nansang-lab.tistory.com

 

Net과 Gross의 차이를 알아보다가

또 머리를 스친 용어

 

마크업 Markup(마진율)과 마진 Margin(이익률)의 개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Q. Markup (마진율) 과 Margin (이익률)에 대해 알려줘

 

Markup(마진율)과 Margin(이익률)은 비슷해 보이지만, 개념과 계산 방식이 다르다.


1. Markup (마진율)

👉 원가 기준으로 가격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제품의 원가를 기준으로, 얼마나 가격을 추가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 주로 도매업자나 소매업자가 가격을 결정할 때 사용됨.

💡 Markup 공식

 

예시

  • 원가: 10,000원
  • 판매가: 15,000원

 

즉, 원가 대비 50%를 더 붙여서 판매한다는 의미!


2. Margin (이익률)

👉 매출 기준으로 이익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제품의 판매가(매출) 를 기준으로, 실제 이익이 얼마인지 계산하는 것.
  • 주로 재무 분석이나 손익 분석에서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할 때 사용됨.

💡 Margin 공식

예시

  • 원가: 10,000원
  • 판매가: 15,000원

즉, 매출의 33.3%가 실제 이익으로 남는다는 의미!


🚨 Markup과 Margin의 차이점 정리

구분 Markup (마진율) Margin (이익률)
기준 원가 기준 판매가 기준
사용 목적 판매 가격 설정 수익성 분석
계산식 (판매가 - 원가) ÷ 원가 (판매가 - 원가) ÷ 판매가
예시 (판매가 15,000, 원가 10,000) 50% 33.3%

🔄 Markup과 Margin 변환 공식

Markup과 Margin은 서로 변환할 수 있다.

 


🚀 정리

  • Markup: 원가를 기준으로 가격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나타냄 (ex. 유통업자가 가격 결정할 때 사용).
  • Margin: 판매가를 기준으로 실제 남는 이익을 계산 (ex. 기업의 수익성 분석).

이 두 개념을 혼동하면 수익률이 다르게 계산될 수 있으니 사용 목적에 맞게 구분해서 사용해야 해! 💡

 

 

Q. 초등학생한테 설명한다고 생각하고 더 쉽게 설명해줘

 

📢 Markup(마진율)과 Margin(이익률), 쉽게 설명해볼게! 🚀


🍕 피자 가게 사장님이 된다고 생각해봐! 🍕

너는 피자 가게를 운영하는 사장님이야.
가게에서 피자를 10,000원에 만들어서 팔 준비를 해! (이게 원가야.)

 

그런데 그냥 원가 그대로 팔면 돈을 못 벌겠지?

 

그래서 가격을 15,000원으로 정했어! (이게 판매가야.)
이제, 우리가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 계산해 보자! 💰


1️⃣ Markup (마진율) = 원가 기준으로 가격을 얼마나 올렸는지!

💡 "나는 원가에 몇 %를 더해서 팔았을까?"

  • 원가 10,000원에 피자를 만들었는데
  • 5,000원을 더 붙여서 15,000원에 팔았어!
  • 그러면 원가(10,000원) 기준으로 얼마나 올렸을까?

 

👉 즉, 원가에 50%를 더해서 가격을 정했다는 뜻이야!


2️⃣ Margin (이익률) = 판매 가격에서 내가 실제로 남기는 돈!

💡 "내가 버는 돈은 전체 판매가의 몇 %일까?"

  • 피자를 15,000원에 팔았는데
  • 원가 10,000원을 빼면 5,000원이 남아!
  • 그럼 판매 가격(15,000원) 기준으로 내 이익은 몇 %일까?

 

👉 즉, 판매가 중 33.3%가 실제로 내 주머니에 남는 돈이야!


🚀 쉽게 기억하는 방법

구분 Markup (마진율) Margin (이익률)
🤔 무엇을 기준으로? 원가 기준 판매가 기준
💰 계산법 (이익 ÷ 원가) × 100 (이익 ÷ 판매가) × 100
🏪 사용 목적 얼마를 더 붙여 팔까? 실제로 얼마나 벌었나?
🍕 예시 (원가 10,000원, 판매가 15,000원) 50% 33.3%

🔄 쉽게 변환하는 방법

Markup을 Margin으로 바꾸려면?

👉 Markup %를 (100 + Markup)으로 나눠주기
(예: 50% Markup이면 Margin은 50 ÷ (100+50) = 33.3%)

Margin을 Markup으로 바꾸려면?

👉 Margin %를 (100 - Margin)으로 나눠주기
(예: 33.3% Margin이면 Markup은 33.3 ÷ (100-33.3) = 50%)


🎯 한 줄 요약!

  1. Markup (마진율) = 원가 기준으로 가격을 얼마나 올렸는지
  2. Margin (이익률) = 판매가 기준으로 실제 남는 돈이 얼마인지

Markup은 원가를 기준으로 계산 → "나는 몇 %를 더해서 팔았을까?"
Margin은 판매가를 기준으로 계산 → "판매 금액 중에서 내가 실제로 버는 돈은 몇 %일까?"

이제 친구한테도 쉽게 설명할 수 있겠지? 😊🔥

 

 

Q. 마크업과 마진의 변환을 쉽게 설명해줘

 

📢 Markup(마진율)과 Margin(이익률) 변환, 쉽게 설명해줄게! 🚀


🎭 역할 놀이: 피자 가게 사장님이 되어보자! 🍕

네가 피자 가게 사장님이라고 상상해 봐!
피자 한 판을 10,000원에 만들어서, 더 비싸게 팔아야 돈을 벌겠지?

 

그래서 15,000원에 팔기로 했어!

 

그러면 얼마를 벌었을까?

👉 15,000원(판매가) - 10,000원(원가) = 5,000원(이익)! 💰

 

이제 우리가 Markup과 Margin을 알아보자!


1️⃣ Markup (마진율)

💡 "나는 원가에서 몇 %를 더 붙였을까?"

  • 원가는 10,000원인데, 5,000원을 더 붙여서 팔았어.
  • 원가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 즉, 원가보다 50% 더 비싸게 팔았다는 뜻이야! 🎉


2️⃣ Margin (이익률)

💡 "나는 판매 가격 중에서 몇 %를 이익으로 가져갔을까?"

  • 피자를 15,000원에 팔았고, 그중 5,000원이 이익!
  • 판매가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 즉, 판매 가격 중 33.3%가 이익이라는 뜻이야! 🎉


🔄 왜 Markup을 (100 + Markup)으로 나눌까?

이제 중요한 질문이야! **Markup 50%**인데, **Margin이 왜 33.3%**가 될까?

🎈 쉽게 이해하는 방법!

Markup은 원가를 기준으로 한 거고, Margin은 판매가를 기준으로 한 거야.

판매가는 원가보다 크기 때문에, 같은 이익이라도 Margin이 더 작아 보여!
즉, 판매가 전체에서 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작아지는 거야!


📌 초간단 공식

1) Markup → Margin 변환 공식

👉 Markup이 커질수록 판매가도 커지니까, 전체 판매가에서 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이 줄어든다

 

 

2) Margin → Markup 변환 공식

 

👉 Margin이 작아질수록, 원가 대비 이익이 더 크다는 의미!


🎯 한 줄 정리

Markup = "원가에서 몇 % 더 올려서 팔까?"
Margin = "판매 가격 중에서 몇 %가 이익일까?"

👉 Markup이 크면 판매가도 커지고, 같은 이익이라도 Margin이 작아진다!

이제 이해됐지? 😊🔥

 

 

Q. 마크업과 마진의 어원이 뭐야?

 

📖 Markup(마진율)과 Margin(이익률)의 어원

두 단어 모두 영어 어원에서 유래했으며, 각각 다른 개념에서 발전했어. 어원을 알면 개념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야! 😊


📌 Markup (마진율)의 어원

  • 어원:
    "Mark" + "Up" → "무언가를 표시(mark)하고 위로 올린다(up)"
  • 뜻의 발전:
    과거 상인들이 원가(cost)에 일정 금액을 덧붙여(price up) 가격을 정했던 것에서 유래했어.

📜 어원적 의미

  • "Mark" → 가격을 표시하다, 정하다
  • "Up" → 가격을 올리다

👉 즉, 원가 위에 가격을 더하는 개념이야!
👉 "나는 이 제품에 얼마를 더해서 팔까?" 🤔


📌 Margin (이익률)의 어원

  • 어원:
    라틴어 "margo" → "경계(boundary), 여백(space)"
  • 뜻의 발전:
    "여백"이라는 뜻에서 출발해서, 어떤 것과 다른 것 사이의 차이를 의미하게 되었어.
    경제에서는 판매가와 원가 사이의 차이(이익) 를 의미하게 된 거지!

📜 어원적 의미

  • "Margin" → 두 개의 숫자(원가 vs 판매가) 사이의 차이(이익)
  • 책에서 여백(margin)이 남는 것처럼, 비용을 빼고 남은 돈을 뜻하는 개념으로 확장됨.

👉 즉, 원가와 판매가의 차이(이익)야!
👉 "판매 금액 중에서 내가 실제로 버는 돈은 얼마일까?" 🤔

관련글 더보기